경제 정보

사회초년생이라면 꼭 알아야할 재테크 전략

송뿌린 2025. 4. 7. 22:03
반응형

안녕하세요. 사회에 이제 막 뛰어는 신입 직원분들을 위한 재테크 방법 모아봤어요.

 

우선, 중소기업 재직자만을 위한 특귄부터 소개할게요.

 

1. 내일채움공제 

혹시 들어보셨나요? 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을 위한 재테크 효자 제도예요.

 

2년~5년 동안 회사와 정부가 함께 목돈을 만들어주는 제도인데요.

 

예를 들어 5년형 기준으로 청년이 720만 원 납입하면 최대 3,000만 원 이상 수령 가능해요.

 

현재는 3년형으로 근로자 11만원 + 기업 23만원 = 34만원 월납입 형태에요.

 

근로자가 원금 396만원 납입하고 1,224만원 수령한답니다.

 

특히 이 돈은 비과세로 받을 수 있어서 세금 걱정 없이 종잣돈 만들기 딱이랍니다.

 

단점이 있다면, 중간에 퇴사하면 받을 수 없다는 점!


그래서 꼭 장기 재직 계획이 있는 경우 신청하시는 걸 추천드려요😊

 

2. 청년도약계좌 – 목돈 마련의 왕도

청년도약계좌는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정부가 매칭지원금을 주는 제도예요.

 

5년간 꾸준히 납입하면 최대 5,000만 원까지 목돈 마련 가능해요.

 

중소기업 재직자이신 경우, 소득기준 충족만 된다면 더 많은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
 

매달 40만 원을 저축한다면 정부가 월 최대 24만 원을 더 얹어줘요.

 

5년이라는 시간 동안 안정적인 자산을 쌓고 싶다면 이 제도 꼭 활용해보세요.

 

3. 소득세 90% 감면 – 놓치면 손해죠

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사회초년생 분들이 놓치기 쉬운 혜택이 있어요.


바로 소득세 90% 감면 제도예요. 조건만 맞으면 최대 5년간 소득세의 90%를 감면받을 수 있어요.

 

예를 들어 연봉 3,000만 원 기준으로 세금 수십만 원을 절약할 수 있는 셈이에요.

 

중요한 건! 중소기업 확인서 제출입사일 기준 신청 시기예요.

 

모르고 지나가면 그만큼 세금도 더 내야 하니까 꼭 회사 인사팀에 확인해보세요💡

 

4. 연금저축펀드 – 미래를 위한 똑똑한 선택

재테크는 지금도 중요하지만, 미래를 준비하는 것도 중요하잖아요?

 

그래서 추천드리는 게 바로 연금저축펀드예요. 

 

연 400만 원 한도로 납입하면 최대 66만 원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어요.

 

30대 이후 은퇴 자산을 조금씩 준비하는 습관을 들이기에도 딱이죠.

 

초기에는 부담되지 않게 월 10만 원부터 시작해보셔도 좋아요.

 

장기적으로 보면 복리의 힘으로 더 크게 불어날 수 있어요.

 

마무리하며😊

중소기업에 다니는 사회초년생이라면 정부가 주는 혜택을 절대 놓치지 마세요.

 

내일채움공제로 목돈 만들고 청년도약계좌로 미래 준비하고


소득세 감면으로 세금 아끼고 연금저축펀드로 은퇴까지 챙기면 완벽하죠💪

 

하나하나 실천해보시면 1~2년 뒤엔 재테크가 점점 쉬워지실 거예요😊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