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 정보

금테크 금투자 방법 알아보기 : 현물, ETF, 주식, KRX

송뿌린 2025. 1. 30. 21:18
반응형

전세계에 많은 이슈들로 인해 금 시세가 굉장히 올라가면서 금 투자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요.

 

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금은방에 가서 사는 금 두꺼비, 황금열쇠, 돌반지를 구매하는 방법 외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
 

금 현물 투자

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현물(실물) 구매하는 투자방법입니다. 골드바 또는 금은방을 통해 소량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.

출처 : 한국금거래소

 

장점

  • 손쉬운 접근성
  • 심리적 안정감
  • 재산세, 증여세 부여되지 않음

단점

  • 분실 위험
  • 구입 시 10% 부가세
  • 구입 시 공임비와 금세공비 
  • 금 가격이 매수시점보다 20% 이상 상승해야 수익 발생

금 현물 투자의 경우 세금과 수수료가 높아 장기 소량 및 단기보다는 장기적인 투자에 적합합니다.

 

한국금거래소 인증하는 골드바가 가장 안전합니다.

 

금 ETF 투자

금 ETF는 금 가격 상장지수펀드로, 금을 보유하지 않고도 금 가격 변동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상품입니다.

 

주식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매매 할 수 있는 상품으로 일반 주식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편합니다.

 

장점

  • 증권사를 통해 간편하게 거래 가능

단점

  • ETF 운용 보수 연 0.5% 수수료
  • 매매 차익의 15.4% 배당소득세
  • 해외시장은 22% 양도소득세

KRX 금 현물 투자(추천)

KRX는 한국거래소(Korea Exchange)의 약자입니다. KRX 금현물계좌는 금을 사고파는 계좌를 증권사 앱에서 만들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습니다.

 

장점

  • 금 거래 시 부가가치세 면제
  • 양도소득세 비과세
  • 1g 단위로 소액 투자 가능
  • 비교적 저렴한 수수료

단점

  • 금을 실물로 인출 시 10% 부가가치세
  • 다만, 실물로 인출하기 위해서는 금 1Kg, 미니금 100g 만큼을 보유하고 있어야합니다.
    금 1g 가격(25.1.29일 기준) 약 127,900원으로 계산한다면 1억2천7백9십만원어치 있어야 실물 금으로 교환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투자하는 허들 자체는 낮지만, 실물로 교환하기는 쉽지 않으니 주식처럼 거래하는 용도로 사용하신다면 절세효과까지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.

 

세계 경제시장의 흐름을 잘 파악하셔서 주식과 현물의 비율을 잘 조율하셔서 수익보시기 바라며 이번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

반응형